원자모형의변천사 1803년 돌턴 공모양입자 1897년 톰슨 전자 발견 (플럼푸딩모형)1911년 러더퍼드 원자핵발견1913년 보어 전자의 궤도 운동 (궤도모형) 1919년 러더퍼드 양성자발견1926년 보른 전자를 확률로표현 (전자구름모형)1932년 채드윅 중성자발견 ① 데모크리토스 입자설 + 돌턴의 원자설 (원자-중성) ② 톰슨 전자 발견 (음극선:질량이 있는 입자로 이루어져있다=> 모든 원자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입자) ③ 러더퍼드의 원자핵 발견 (a선=a입자 / +전하를 띠는 입자"원자핵") ④ 러더퍼드의 양성자발견 (원자핵발견) ⑤ 채드윅 중성자 발견 원자번호는 양성자의 수와 전자의 수를 나타낸다. 질량수 동위원소 양성자, 중성자 => 질량이 비슷하다. (중성자 수가 다르면 동위원소)*양성자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