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물질의 변화는 물리변화와 화학 변화로 나눌 수 있다.
물리변화 : 물질의 모양 크기 상태(고,액,기) => 고유의 성질은 그대로 = 철을 구부린다. 얼음이 녹아 물이된다. 설탕이 물에 녹는다. => 분자의 배열만 변한다., 분자의 종류가 변하지 않는다.
화학변화 : 색깔, 맛 고유의 성질이 변함 => 철이 녹슨다. 김치가 시어진다. 종이가 타서 재가 된다. => 산화철(철이 녹슬면 Fe2O3) 분자의 종류가 변한다. - 이온결합 (이온화합물)
Ex) 물을 전기분해한다.-> 분자의 종류가 변한다 = 원자의 배열이
*물질의 고유한 성질이 바뀌는 이유?
물질의 종류가 변하기 때문 (물질을 이루는 분자의 종류가 변함)
알갱이를 원자, 알갱이의 종류를 원소, 원자끼리 결합한 것을 분자
화학반응식 예 물을 전기분해하여 산소기체와 수소기체가 되었다.
O2 + H2 => 대부분의 물질은 원자상태로 존재하지 않는다.
반응물과 생성물이 주어지면 계수를 맞추는 것이 중요
*계수 맞추는 순서는 분자구조에서 중심에 있는 원자부터! ex) 금속 탄소,질소 -> 산소 -> 수소
질량보존법칙
질량 보존 법칙 => 반응물의 총질량 = 생성물의 총 질량
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배열만 변할 뿐 원자의 종류와 수는 변하지 않는다 = 질량 보존 법칙
Ex)
1.앙금생성반응 = 염화나트륨+질산은에서 은 이온과 염화이온이 새로운 이온화합물을 만들게되는 현상
2.기체발생반은=계란껍질 +염산(염화수소)= 계란껍질에 물과 기체가 발생하면서 거품이 일어남 (계란껍질부식)
3.연소반응=마그네슘 연소시키면 =>산화마그네슘 생성
일정성분비법칙
일정 성분비 법칙 = 화합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일정한 비율
=> 어느 한 물질이 모두 반응하여 없어지면 다른 물질이 남아있더라도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.
화합물을 이루는 원소들 사이에는 일정한 질량비가 있다.
*원자는 질량이 다 다르다. 수소 1g, 질소 14g, 산소16 g, 구리 64g
수소 0.3g , 산소 2.4g 더하면 2.7g생성(1대8)
기체반응법칙
*기체반응의 법칙 = 기체반응시킬때 나타나는 법칙 (기체분자들의 화학반응)
화합물을 만들기위한 반응물과 생성물의 비율
개수비 = 부피비
온도와 압력조건이 같을 때 기체 분자들이 벽에 충돌하는 횟수가 동일함
차지하는 부피가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!
* 정리하자면,
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가 반응하여 새로운 기체를 생성할 때 각 기체의 부피사이에는 간단한 정수비가 성립한다.
- 반응물과 생성물의 부피비 파악하기
- 반응물의 부피가 얼마나 필요한지? 생성물의 부피는 얼마인지?
화학반응 상품
핫팩 : 철과 산소. => 열을 방출함(발열), + 메테인 금속의 연소반응, 금속이 녹스는 것도 (금속+산소), 중화반응(산+염기), 산화칼슘+물
쿨팩 : 질산암모늄 + 물 => 열을 흡수함(흡열) + 냉각장치에도 이용 (염화암모늄+수산화바륨)
:대부분의 화학반응은 열을 방출함
'화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화학 기초 정리 - 원자의 세계 원자 모형 변천사, 평균 원자량, 보어의 원자모형, 수소의 선스펙트럼 (5) | 2024.07.19 |
---|---|
화학 기초 정리 탄소 질량 몰 mol (3) | 2024.07.15 |
화학 기초 정리 원자구조, 전자 옥텟 규칙, 탄소화합물 알테인 (6) | 2024.07.15 |
중학교 기초 과학 화학 정리 2학년 물질의 구성 (1) | 2024.07.15 |
중학교 기초 화학 물질의특성 (0) | 2024.07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