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물질의 특성>
세상에는 모든 물질은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.
1가지 원소로만 이루어진 물질 : 순물질(홑원소물질)
2개이상의 원소가 결합한 물질 : 혼합물(화합물)
균일하지 않게 섞임 : 혼합물(불균일혼합물)
균일하게 섞임 : 혼합물(균일혼합물)
ex)
철은 뭘까? Fe (홑원소물질)
금은 뭘까? Au(홑원소물질)
산소는 뭘까? O2(홑원소물질)
소금은 뭘까? NaCl(화합물)
물은 뭘까? H2O(화합물)
소금물은 뭘까? NaCl+ H2O (균일혼합물)
우유는 뭘까? H2O + 단백질 etc.... (불균일 혼합물)
용해도
* 용질(녹는물질)를 용매(녹이는 물질)에 녹여서 용액(용질+용매)를 만들었다. (3가지 상태 : 불포화->포화->과포화(석출))
용해도 : 어떤 온도에서 용매 100g에 최대로 녹일 수 있는 용질의 g수
ex) 소금물과 설탕물 사례 : 용해도 곡선
- 물질마다 용해도가 다르다(설탕이 소금보다 용해도가 크다)
- 온도가 높아지면 용해도는 증가한다.(설탕이 소금보다 온도에 따른 용해도 변화가 크다.)
* 기체도 온도가 높아질수록 용해도가 증가할까? => 아니다. 기체는 온도가 낮을수록 용해도가 증가함(이산화탄소-CO2)
밀도
입자들의 조밀한 정도 "밀도"
단위 부피당 질량,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 -> 물질이 뜨고 가라앉는 정도
ex) 비커 질량 53g 밀도 0.9g/mL플라스틱 , 압정 질량 0.5g 밀도 7.8g/mL철 =>물질이 뜨고 가라앉는 것은 질량때문은 아니다!
조밀한 정도(밀도)를 알아내는 방법
1. 부피와 밀도의 관계
ex) 코르크 마개와 못 비교
질량이 같지만, 부피가 작을수록 밀도가 크다. => 밀도는 부피에 반비례
2.질량과 밀도의 관계 입자
ex) 금과 은 비교
밀도g/mL , g/cm3 는 부피mL분의 질량g
1. 밀도가 작은 물질은 위로 뜨고, 밀도가 큰물질은 아래로 가라앉는다
나무 < 식용유 < 플라스틱 < 물 < 글리세린 < 돌
물 < 계란 < 소금물
2. 밀도는 물질의 고유한 특성이다(단, 온도와 압력에 따라서는 약간씩 달라질 수 있어서 온도와 압력조건을 반드시 명시해야함)
금 19.3g/mL
철 7.8g/mL
플라스틱 0.9g/mL
+ 일반적으로 25도, 1기압에서 측정한 밀도값을 기준으로 한다.
*밀도표로 물질을 구별할 수 있다.
<물질의 상태변화>
*승화
고체 - 융해 -> 액체 - 기화 -> 기체
고체 <-응고- 액체 <-액화- 기체
물질의 세 가지 상태 : 고체, 액체, 기체,
물질의 상태 변화 : 융해, 기화, 승화, 응고, 액화, 승화
물질의 상태가 변하는 것 = 입자 사이의 거리가 변하는 것
ex) 얼음 기화 과정 그래프
상태변화가 일어날 때는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: 녹는점, 끓는점 check
물 100도
에탄올 78.3도
철 1538도
갈륨 30도
수은 -39도
- 물질의 양이나 가열세기에 관계없이 일정하다.(단, 주위 압력이 변하면 끓는 점도 변하므로 압력조건을 명시해야함 = 일반적으로 1기압에서 측정한 것을 기준으로 함)
*순물질과 혼합물 비교
끓는 점이 더 높아짐(소금이 물의 기화를 방해함)
끓는점이 일정하지 않음
어는 점이 더 낮아짐 (겨울철 눈이 오면 염화 칼슘을 뿌리는 이유)
어는점이 일정하지 않음
<혼합물의 분리>
순물질 : 특성으로 다른 물질과 구별되는 고유의 성질 (냄새, 맛, 밀도, 용해도, 끓는점...)
1. 끓는점 차이로 분리하기 -> 서로 잘 섞여 있는 액체혼합물을 분리할 때
ex)소주 (물+에탄올), 소금물(물+소금)
*증류 : 액체혼합물을 가열하여 증기로 만듦 -> 그 증기를 다시 냉각시켜서 순수한 액체를 얻음
*분별증류 : 증류과정을 여러번 반복하는 것
*유리도막(증류를 여러번 하는 효과)
*끓임쪽 (액체가 갑자기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)
ex) 증류식소주
*분별증류를 이용한 원유의 분리 : 여러 가지 액체 혼합물도 한꺼번에 분리가능
휘발유,등유,경유,중유 등 그 원유를 370도이상 가열하면
기회되는 온도
석유가스 (LPG, 부탄가스) 25도~
휘발유(가솔린) 40도~
등유(항공기) 150도~
경유(디젤) 220도~
중유(선박) 300~
아스팔트 고체 찌꺼기(도로포장)
- 기체 상태로 계속 올라가다가 자신의 끓는점보다 낮은 온도의 층에서 액화되어 분리된다.
- 끓는점이 높은물질 -> 아래쪽에서 분리됨
- 끓는 점이 낮은물질 -> 위쪽에서 분리됨
2. 밀도 차이로 분리하기 -> 서로 섞이지 않는 액체 혼합물을 분리할 때
*분별깔때기 : 콕을 열어 밀도가 큰 액체만 분리함. ex) 물+식용유
물 1g/mL
식용유 0.9g/mL
- 서로 밀도 차이가 큰 고체 혼합물을 분리할 때 -> 두 고체의 중간 정도의 밀도의 액체를 넣어 분리 (단 고체가 액체에 녹지 않아야함)
3. 용해도 차이로 분리하기 -> 용해도 차이가 큰 고체 혼합물을 분리할 때
거름 용매에 녹지 않는 성분 물질을 거름 장치로 걸러냄
ex) 소금(용매에 녹아 거름종이를 통과함) + 모래(용매에 녹지않아서 거름종이에 걸러짐)
추출 특정물질만 녹일 수 있는 용매를 이용하여 원하는 물질만 분리
ex) 약탕기, 거름종이커피...
재결정 고체를 높은 온도에서 용매에 녹임 -> 가열 또는 냉각시켜 순수한 고체를얻음
ex) 소금물, 붕산 (용매를 증발시키거나, 용질을 석출시킴- 그때 아주 작은 고체를 결정이라고 함 )
- 분별결정 온도에 따른 용해도 변화가 큰 고체와 용해도 변화가 작은 고체를 분리
재결정 : 순도 높이기
분별결정 : 분리하기
= 고체물질을 녹인 용매를 가열 -> 서서히 냉각시켜 용질을 석출
크로마토그래피 밀도 끓는점 용해도를 이용한 분리가 어려운 혼합물 : 물질이 용매를 따라 이동하는 속도차이(물질의 특성)를 이용하여 분리
ex) 사인펜 색소 분리 : 이동 속도가 빠른 물질 , 느린 물질 확인 (종이 크로마토그래피)
*전개율 (Rf) = 용매가 이동한 거리에서 성분물질이 이동한 거리 (속도가 빠르면 전개율이 큰 것)
'화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화학 기초 정리 - 원자의 세계 원자 모형 변천사, 평균 원자량, 보어의 원자모형, 수소의 선스펙트럼 (5) | 2024.07.19 |
---|---|
화학 기초 정리 탄소 질량 몰 mol (3) | 2024.07.15 |
화학 기초 정리 원자구조, 전자 옥텟 규칙, 탄소화합물 알테인 (6) | 2024.07.15 |
중학교 기초 과학 3학년 화학반응의 규칙과 에너지변화 (2) | 2024.07.15 |
중학교 기초 과학 화학 정리 2학년 물질의 구성 (1) | 2024.07.15 |